Bitstar
  • Overview
    • Introduction
    • Our Vision
  • Platform
    • BTS Mining
      • Logic
      • Mining
        • Ticket NFT
    • Bitstar Scan
    • Khaki (TBA)
    • Shop
  • BTS Coin
  • Ecosystem
  • Roadmap
  • Disclaimer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1. Platform
  2. BTS Mining

Logic

합의 알고리즘

  • PoA(Proof of Authority) + PoS(Proof of Stake) + qBFT(Quorum Byzantine Fault Tolerance) 결합

    • PoA(Proof of Authority) : PoA 는 트랜잭션과 블록이, 검증자라고 알려진 승인된 계정에 의해 검증되는 로직. Bitstar 는 8개의 검증자 계정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소유권을 저장하고,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의 데이터를 가져와서 검증자 역할을 할당.

    • PoS(Proof of Stake) : PoS는 검증자 선정 과정에서 토큰 보유량(지분)을 기준으로 하는 방식입니다. 즉, 네트워크 참여자가 보유한 지분의 크기에 따라 블록 생성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보상도 분배됩니다.

      Bitstar 생태계에서는 단순한 토큰 보유 대신 Ticket NFT 라는 형태의 스테이킹 시스템을 도입합니다. 사용자는 Ticket NFT 를 획득한 후, 이를 검증자 채널에 스테이킹 함으로써 검증 보상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qBFT: 쿼럼 비잔틴 장애 허용(qBFT, Quorum Byzantine Fault Tolerance) 은 기업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합의 방식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 qBFT의 작동 원리

    • 검증자(Validator) 기반 합의 : 네트워크에서 승인된 검증자들이 번갈아가며 블록을 생성한다.

    • 비잔틴 장애 허용(BFT) 구조 : 전체 검증자의 ⅔ 이상이 서명해야 블록이 체인에 추가되므로, 일부 검증자가 악의적이거나 네트워크 장애를 일으켜도 안전하게 운영된다.

    • 포크 방지 및 최종성 보장 : qBFT 는 블록이 확정되면 변경되지 않으며, PoW처럼 체인이 분기되는 포크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 Wallet

    • 기본 설명

      • 본 프로젝트의 지갑은 브라우저 기반 비수탁형(Non-Custodial) 지갑이며, 사용자는 지갑 생성, 보관, 트랜잭션 서명까지 전 과정을 직접 클라이언트 측에서 수행 합니다.

    • 기술적 구조

      • 본 지갑은 BIP-39 표준에 따라 니모닉(Mnemonic) 시드 문구를 생성하고, BIP-32/BIP-44 규격을 통해 계층적 키를 파생하는 HD Wallet (Hierarchical Deterministic Wallet) 구조를 따릅니다.

      • 기본적으로 이더리움 표준 경로인 m/44'/60'/0'/0/0 에서 파생된 주소를 사용하며, 향후 다양한 경로로의 확장도 가능합니다.

    • 보안 및 저장

      • Client-Side Wallet

        • 사용자의 지갑은 브라우저에서 생성되며, 개인키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습니다. 지갑은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이용해, AES-256-GCM 방식으로 암호화되어 Local Storage 에 저장됩니다. 이 암호화는 ethers.js의 표준 기능을 사용하여 처리됩니다.

    • 지갑의 기능

      • 니모닉(Mnemonic) 기반 HD Wallet 생성

      • 비밀번호 기반 암호화 및 브라우저 내 저장

      • RPC Provider 연동을 통한 네트워크 연결

      • 트랜잭션 서명 및 전송 기능 포함

      • 추후 하드월렛 연동 및 멀티 주소 파생 지원 예정

  • NFT

    • Bitstar 생태계 내 모든 NFT 는 ERC-1155 로 발행됩니다.

    • 다양한 미션 수행을 통해 획득한 Ticket NFT 조각을 합성(Minting)하여, 1개의 온전한 Ticket NFT 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합성에 사용된 Ticket NFT 조각은 소각처리 됩니다.)

    • 각 NFT Ticket 은 8개의 검증자 채널(Validator Channel)중 하나에 접속하여 BTS 채굴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장점

    • 빠른 트랜잭션 속도 : PoW 처럼 복잡한 연산 없이, 승인된 검증자(Validator)들이 직접 블록을 생성하므로, 높은 TPS(Transaction Per Second) 성능을 제공한다.

    • 보안성 강화 : 비잔틴 장애 허용(BFT) 구조를 통해 ⅓ 이하의 검증자가 악의적인 행동을 해도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 예측 가능한 블록 생성 : 블록 타임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예측하고 네트워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 구조

PreviousBTS MiningNextMining

Last updated 15 days ago

Architecture